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사 후 눕지 마요!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치료

by ◐HjSjH◑ 2022. 8. 6.

속 쓰림이 주증상 중 하나인 위식도 역류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식도 역류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유입되어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이 위 내용물에 노출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며 이러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원인, 증상, 치료방법, 음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원래 우리 몸은 정상적으로 위식도 괄약근 부위에 높은 압력대가 있어 음식물을 통과시키나 역류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부위에 변화가 생겨 역류가 발생하여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나 위 수술 후, 또는 장기간의 구토 후, 장기간의 위장관 삽관 후에 위궤양이나 십이지장 궤양과 함께 발생합니다. 

 

만약 위식도역류식도염이 만성으로 변하면 위 내용물이 상기도를 자극하여 기관지 경련, 후두경련,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 가슴앓이, 가슴쓰림 : 가슴 하부 뒤 중앙에서부터 타는 듯한 통증이 파동이 되어 목까지 올라오는 경향의 증상
  • 삼킴시 통증
  • 삼킴 곤란
  • 산의 역류
  • 기침,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증상
  • 상태가 심하면 등, 목과 턱으로 통증이 나타나는 방사통

대개 통증은 식후에 나타나며, 제산제나 수분을 섭취하면 완화되고 서있거나 걷게 되면 증상이 완화되기도 합니다.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또는 위가 팽만되었을 때 불편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삼킴 곤란(연하곤란)은 가끔씩 나타나며 식사 시작 시에 더 심해집니다. 

 

가슴 쓰림이 혹시 심장에 원인이 되는 문제를 구별하기 위해 병원에서는 협심증에 사용하는 약물인 니트로글리세린(NTG)약물을 사용해봄으로써 증상이 호전되면 심장 문제이며, 아닌 경우에는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진단방법

  • 식도 pH 관찰법 : pH 탐색자를 코를 통해 삽입하고 하부식도괄약근의 5cm 윗부분에 둡니다. 환자가 정상적으로 섭취하고 행동을 하는 18~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 pH가 4 이하로 감소된다면 역류 증상을 의심합니다. 
  • 무관 pH 관찰법 : 내시경을 이요해 작은 장치를 식도 벽에 부착한 뒤 10~14일 동안 역류 증상을 관찰합니다.  
  • 위내시경 : 내시경은 점막 손상의 정도와 종류에 대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나 역류 특성이나 심각성은 진단하지 못합니다. 
  • 조직생검 : 위내시경으로 상피세포의 조직을 생검하여 검사합니다. 
  • 압력측정법 : 괄약근과 근육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다른 검사들 : 바륨연하검사, acid perfusion 검사는 산도와 속쓰림 증상의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 방법

1)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 과체중이라면 위식도압력 차이를 줄이기 위해 체중 줄이기 
  • 부드러운 식사를 소량씩, 자주 하도록 하기 (하루에 4~6회)
  • 지방질 음식, 양파, 술, 토마토, 담배, 커피, 초콜릿, 사탕, 오렌지주스 뿐 아니라 너무 맵거나 짠 음식 양념이 과다한 음식도 피하기
  • 밤에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3~4시간 전부터 먹거나 마시는 것을 피하기 
  • 금연하기
  • 잠자는 동안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머리 부분을 10~15cm 가량 높이기 
  • 몸에 꽉 끼는 옷을 입지 않기
  • 몸을 앞으로 굽히는 행위는 자제하기

 

역류를 유발시키는 음식

  • 술 
  • 밀가루 음식
  • 초콜릿, 사탕
  • 튀김
  • 향이 강한 식품 - 양파, 파 등
  • 육류의 지방

손상된 식도 점막을 자극시키는 음식

  • 탄산음료
  • 카페인 함유 음식- 커피, 녹차 등
  • 신맛이 강한 거의 모든 과일 관련 음식 - 오렌지 쥬스, 토마토, 파인애플, 감률류 등 

 

2) 약물치료 

 ⑴ 양성자펌프억제제 (PPI 제제)

  • 약 성분명 : 에스오메프라졸, 덱스란소프라졸, 일라프라졸, 란소프라졸, 오메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레바프라잔
  • 복용법 : 식전 복용, 위의 산도에 파괴되지 않도록 만든 특수 제형이라서 캡슐을 열거나 깨물지 않고 복용합니다.
  • 부작용 : 흔하지는 않지만 복부경련, 두통, 설사 

 ⑵ H2 수용체 차단제       

  • 약 성분명 : 세메티딘, 파모티딘(가스터), 라푸티딘(스토가), 니자티딘, 라니티딘, 록사티딘
  • 복용시간 : 1일 1회 취침전 또는 1일 2회 식후 복용합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합니다. 
  • 부작용 : 피로, 두통, 설사 

 ⑶ 제산제

  • 약 성분명 : 칼슘제, 마그네슘, 알루미늄, 알마게이트, 탄산수소나트륨, 히드로탈시트, 보에마이트, 디오마그나이트
  • 복용시간 : 식후 1시간이 가장 적절
  • 부작용 : 설사 또는 변비

 

3) 수술적 치료 

수술은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는 환자에게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통해 고주파에너지를 발생하는 Stretta 장치를 식도 위 연결 부위에 삽입하여 콜라겐 조직을 수축시키므로 역류를 막는 수술을 합니다. 

 

항역류수술로는 니센 위저주름술이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위 내의 압력이나 양이 증가하면 분문이 닫혀지고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습니다. 

 

역류가 심한 환자는 Angelchik 항역류성 보철기구 삽입술을 받기도 합니다. 개복술을 하여 C-.모양의 실리콘 보철기구로 식도의 하부 주위를 묶고 이 기구는 괄약근의 압력을 강화시킵니다. 

 

 

댓글